일반화학에서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 및 산화수 우선순위 문제 (acidic solution, basic solution, oxidation state, transition metals, chemical reaction, chemistry concept)

질문 요약

질문 1: 일반화학에서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에 대해 궁금합니다. 세 가지 정의 중 어떤 것이 맞나요? 1. 산을 물에 녹인 산성 수용액과 염기를 물에 녹인 염기 수용액 2. 수소이온(H+)을 주는 용액이 산성용액, 수소이온(H+)을 받는 용액이 염기성용액 3. H+가 있는 용액이 산성용액, OH-가 있는 용액이 염기성용액 질문 2: 산화수 계산 시 전이금속과 O, H가 만나면 어떤 것이 우선순위인가요? 질문 3: 일반화학1 강의 예제 49번에서 CN-, [Ag(CN)2]- 같은 경우, C와 N, Ag의 산화수를 어떻게 구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요약

질문 1: 일반화학에서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는 산성이면 양성자가 존재하고, 염기성이면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이 존재한다는 세 번째 정의가 맞습니다. 질문 2: 산화수를 구할 때, 전이금속보다 산소와 수소가 우선순위가 높습니다. 질문 3: 예제 49번에서 CN- 이온의 경우, 은(Ag)은 일반적으로 +1의 산화수를 가지며, 사이안화 이온(CN-)의 전체 산화수 합은 -1입니다. CN-의 구조식을 그리면, 질소(N)의 산화수는 -3, 탄소(C)는 +2가 됩니다. [Ag(CN)2]-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계산합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acidic solution, basic solution, oxidation state, transition metals, chemical reaction, chemistry concept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acidic solution, basic solution, oxidation state, transition metals, chemical reaction, chemistry concept )

 

일반화학에서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 및 산화수 우선순위 문제

일반화학은 화학의 기초 원리를 다루는 학문으로, 많은 중요한 개념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 및 산화수 계산은 매우 중요한 주제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 두 가지 주제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

일반화학에서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을 정의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로 세 가지 정의가 사용되는데, 이를 각각 살펴보겠습니다.

  1. 산을 물에 녹인 산성 수용액과 염기를 물에 녹인 염기 수용액
  2. 수소이온(H+)을 주는 용액이 산성용액, 수소이온(H+)을 받는 용액이 염기성용액
  3. H+가 있는 용액이 산성용액, OH-가 있는 용액이 염기성용액

이 세 정의 중 어느 것이 맞는지 궁금해하신다면, 세 번째 정의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의입니다. 즉, H+가 있는 용액이 산성용액이고, OH-가 있는 용액이 염기성용액입니다.

산화수 우선순위

산화수 계산 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원소 간의 우선순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입니다. 특히 전이금속과 산소(O), 수소(H)가 만나게 되면 우선순위가 중요해집니다.

산화수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산소(O): 일반적으로 -2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과산화물의 경우 -1, 초산화물의 경우 -1/2입니다.
  • 수소(H): 일반적으로 +1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금속 수소화물의 경우 -1입니다.
  • 전이금속: 다른 원소의 산화수를 기반으로 계산되어야 하며, 산소와 수소보다 우선순위가 낮습니다.

따라서 전이금속보다 산소와 수소가 우선순위가 높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산화수 계산 예제: CN-과 [Ag(CN)2]-

산화수 계산의 대표적인 예제로 CN- 이온과 [Ag(CN)2]- 복합이온을 살펴보겠습니다.

CN- 이온

CN- 이온의 전체 산화수 합은 -1입니다. 여기서 각 원소의 산화수를 구해보겠습니다.

  • 은(Ag): 일반적으로 +1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 탄소(C): CN- 이온에서 질소(N)의 산화수를 -3으로 가정하면, 탄소의 산화수는 이를 보완하여 +2가 됩니다.
  • 질소(N): CN- 이온에서 -3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따라서 CN- 이온에서 탄소(C)의 산화수는 +2, 질소(N)의 산화수는 -3입니다.

[Ag(CN)2]- 이온

[Ag(CN)2]- 이온의 전체 산화수 합은 -1입니다. 여기서 각 원소의 산화수를 구해보겠습니다.

  • 은(Ag): 일반적으로 +1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 탄소(C): 각 CN- 이온에서 탄소의 산화수는 +2이므로, 두 개의 탄소는 총 +4입니다.
  • 질소(N): 각 CN- 이온에서 질소의 산화수는 -3이므로, 두 개의 질소는 총 -6입니다.

따라서, [Ag(CN)2]- 이온에서 은(Ag)의 산화수는 +1, 탄소(C)의 산화수는 +2, 질소(N)의 산화수는 -3입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합 이온의 산화수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산화수 계산은 화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므로, 이러한 원리와 방법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트를 통해 일반화학에서 산성용액과 염기성용액의 정의 및 산화수 계산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길 바랍니다.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megauni.asp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community/qna_list.asp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