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성궤도 함수 관련 질문 (chemistry, chemical bonding, molecular structure, orbital hybridization, triple bond, methane, hybrid orbitals, acetylene, sigma bond, molecular geometry)

질문 요약

C2H2는 삼중결합이 있어서 시그마 결합 1개와 파이 결합 2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180도로 이루어진다고 알았습니다. 360도를 2로 나눈 값이 180도이기 때문에 두 개만 혼성화를 해야 해서 SP 2개와 2P 2개가 나오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이렇게 생각하면 CH4는 왜 4개의 혼성화를 해야 하나요?

답변 요약

네, 맞습니다. CH4의 측정된 결합각은 109.5도로, 3차원 공간을 4등분해야 합니다. 따라서 4개의 혼성 오비탈이 필요합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chemical bonding, molecular structure, orbital hybridization, triple bond, methane, hybrid orbitals, acetylene, sigma bond, molecular geometry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chemical bonding, molecular structure, orbital hybridization, triple bond, methane, hybrid orbitals, acetylene, sigma bond, molecular geometry )

 

혼성궤도 함수 관련 질문

화학에서 분자의 구조와 결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개념 중 하나가 혼성궤도 함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C2H2와 CH4의 혼성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2H2의 혼성화

C2H2는 아세틸렌이라는 화합물로, 탄소 원자 사이에 삼중 결합이 존재합니다. 삼중 결합은 하나의 시그마 결합(σ 결합)과 두 개의 파이 결합(π 결합)으로 구성됩니다. 이때 탄소 원자 간의 결합각은 180도입니다.

탄소 원자는 2s 궤도 하나와 2p 궤도 세 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삼중 결합의 경우, 하나의 시그마 결합과 두 개의 파이 결합이 형성되므로, 탄소 원자는 두 개의 혼성 오비탈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를 sp 혼성화라고 합니다. sp 혼성화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sp = 1s + 1p \]

따라서, C2H2에서 각 탄소 원자는 두 개의 sp 혼성 오비탈과 두 개의 2p 오비탈을 가지게 됩니다.

CH4의 혼성화

CH4는 메테인이라는 화합물로, 탄소 원자 중심으로 네 개의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습니다. 메테인의 결합각은 109.5도로, 이 각은 3차원 공간에서 정사면체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탄소 원자가 sp3 혼성화를 해야 합니다.

sp3 혼성화는 하나의 2s 궤도와 세 개의 2p 궤도가 혼성화 되는 과정으로,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 sp^3 = 1s + 3p \]

따라서, CH4에서 탄소 원자는 네 개의 sp3 혼성 오비탈을 가지며, 각 혼성 오비탈은 수소 원자와 시그마 결합을 형성합니다.

결론

결론적으로, C2H2와 CH4의 혼성화는 화합물의 결합각과 분자 구조에 따라 다릅니다. C2H2의 탄소 원자는 sp 혼성화를 통해 두 개의 혼성 오비탈과 두 개의 2p 오비탈을 가지게 되며, CH4의 탄소 원자는 sp3 혼성화를 통해 네 개의 혼성 오비탈을 가지게 됩니다. 이를 통해 분자의 결합각과 구조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시그마 결합, 파이 결합, 삼중결합, 혼성화, sp 혼성 오비탈, 2p 오비탈, 결합각, 3차원 공간, 4등분, 혼성 오비탈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megauni.asp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community/qna_list.asp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