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요약
도선이 하나인 경우 t>0에서 무시하는 이유와 t<0에서 kcL을 사용할 때 전류가 흐르지 않는 이유를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도선을 무작정 없애는 것이 왜 가능한지 의문입니다.
답변 요약
인덕터가 직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하는 전류가 없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저항이 연결되어 있어도 전류가 없으면 저항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t<0에서 kcL을 써도 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이유는 직류 전원이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풀이 이미지 : https://file.unistudy.co.kr/Data/SEDATA/hanna714__20240514013556.jpg)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Ship, time, negative, conductor, current, inductor, DC power supply, varying current, resistance )
회로이론 14강 19분 내용 요약
이번 글에서는 회로이론 14강 19분 내용을 요약하고, 도선과 전류의 흐름에 대한 몇 가지 질문에 대해 답변을 제공하겠습니다.
질문 및 답변
-
질문: 7.5번에서 t>0 그림 그릴 때 도선이 하나 이므로 무시해도 된다는 게 왜 가능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무작정 없애버리기 무섭네요...
답변: 도선을 무시해도 되는 이유는 회로에서 도선의 저항이 매우 작아서 이를 이상적인 도선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도선이 전류를 흐르는 데 있어 저항을 거의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도선 자체를 고려하지 않아도 회로 해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
질문: t<0 에서 kcL을 쓸 때 저항에는 왜 전류가 흐르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인덕터가 직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변화하는 전류가 없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저항이 연결되어 있어도 전류가 없으면 저항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t<0에서 kcL을 써도 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이유는 직류 전원이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풀이 이미지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회로이론에서의 도선과 저항
도선과 저항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먼저 각 요소의 특성을 살펴보겠습니다.
-
도선: 도선은 전류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이상적인 도선은 저항이 0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미세한 저항이 존재하지만, 회로 해석에서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습니다. 도선을 무시할 수 있는 이유는 전류가 도선을 통해 흐르는데 거의 저항이 없기 때문입니다.
-
저항: 저항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로, 저항 값이 클수록 전류의 흐름이 더 많이 방해됩니다. 그러나 인덕터가 직류 전원에 연결된 경우, 변화하는 전류가 없기 때문에 저항을 무시할 수 있습니다.
인덕터와 직류 전원
인덕터는 자기장을 형성하여 전류의 변화를 저항하는 소자입니다. 인덕터가 직류 전원에 연결되어 있을 때, 시간이 충분히 지난 후에는 자기장이 안정화되어 전류의 변화가 없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결론
이번 글에서는 회로이론 14강 19분 내용 요약과 함께, 도선과 전류의 흐름에 대한 몇 가지 질문에 대해 답변을 제공했습니다. 도선을 무시할 수 있는 이유는 저항이 거의 없기 때문이며, 인덕터가 직류 전원에 연결된 경우 변화하는 전류가 없어 저항을 무시할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회로 해석에 있어 이러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megauni.asp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community/qna_list.asp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