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요약
1강에서 이렇게 풀이해주셨는데 2NH3가 왜 +4인지 정확하게 모르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N2 + 3H2 -->2NH3 -2 -6 +4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0.5 x +4
답변 요약
이지혜 입니다~ 질문줘서 고마워요~ 아.. 무슨 질문인지 알겠어요. 34g 생성되었으니, 맨 끝에 +4가 아니라 +2 아니냐는 말이죠? 네, 엄연히 말하자면 +2가 맞는데, 수득률 등을 구하는 것이고, 반응이 끝까지 , 수소가 다 떨어질 때 까지 반응하면 4몰이 된다는 뜻 입니다. 수득률이니, 비율을 구하면 되는 것이라서.. 그냥 그렇게 계산한 것 입니다. 미안해요~ 내가 너무 앞서갔나봐요~ ㅠㅠ 작성일 2021-05-13 09:50 수정일 2021-05-13 09:50 0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1. lecture
2. ammonia
3. nitrogen
4. hydrogen
5. yield
6. reaction
7. mole )
[일반화학] 1강: 화학반응식과 산화수의 이해
일반화학의 강의에 대한 질문을 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화학 반응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을 텐데, 오늘은 질문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화학 반응식과 산화수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질문해주신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N_2 + 3H_2 \rightarrow 2NH_3\). 여기서 각각의 분자와 화합물의 산화수 변화를 살펴보겠습니다.
- \(N_2\): 질소는 분자 상태에서 0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 \(3H_2\): 수소도 분자 상태에서 0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 \(2NH_3\): 암모니아에서 질소는 \(-3\)의 산화수를, 수소는 \(+1\)의 산화수를 가집니다.
이때, 질문하신 내용에 따르면 \(2NH_3\)에 대해 \(+4\)의 산화수 합이 언급되었는데, 정확하게는 \(2NH_3\)의 산화수 합계를 구해야 합니다. 암모니아 한 분자의 산화수 합계는 질소 한 개와 수소 세 개의 산화수를 합한 값입니다. 따라서, \(2NH_3\)에서의 산화수 합계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2 \times (1(N) \times -3 + 3(H) \times +1) = 2 \times (-3 + 3) = 2 \times 0 = 0\]
따라서, \(2NH_3\)의 산화수 합계는 \(0\)이 되어야 합니다. 여기서 혼동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질문에서 언급된 \(+4\)는 사실 이 반응에서의 산화수 변화와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산화수의 계산은 화학 반응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화학 반응에서 산화수는 반응물과 생성물 사이에서 전자의 이동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산화수의 변화를 통해 어떤 원소가 산화되었고, 어떤 원소가 환원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는 화학 반응의 본질적인 이해를 돕고, 다양한 화학 반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마지막으로, 질문에서 언급된 수득률과 관련하여, 이는 반응이 완료될 때 실제로 얻어진 생성물의 양과 이론적으로 계산된 생성물의 양 사이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수득률은 실험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며, 반응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오늘은 화학 반응식과 산화수의 기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화학 반응을 이해하는 데 있어 산화수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더 다양한 화학 반응과 그 메커니즘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megauni.asp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community/qna_list.asp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