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요약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은 ΔS = Cvln(T2/T1) + Rln(V2/V1)입니다. 그러나 원래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은 ΔS = mcln(T2/T1)입니다. 이상기체일 때 왜 항이 더 붙나요? 이로 인해 이상기체의 엔트로피가 더 크게 변하는 것 아닌가요? 두 식이 어떻게 같은가요?
답변 요약
이상기체 엔트로피 공식과 일반 엔트로피 공식은 본질적으로 같은 식입니다. 다른 변수나 열역학적 과정을 사용하면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ΔS = mcln(T2/T1) 공식도 이상기체에 적용됩니다. 공식을 외우기보다는 유도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세요. http://file.unistudy.co.kr/SEDATA/dylee_mqna_20201116092224.png, http://file.unistudy.co.kr/SEDATA/dylee_mqna_20201116092235.png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thermodynamics, ideal gas, entropy change, physics equation, heat transfer, scientific discussion )
이상기체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의 차이점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은 열역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엔트로피와 관련된 두 가지 공식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반면에, 일반적인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여기서
이상기체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의 유도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을 유도하려면 먼저 열역학 제1법칙과 제2법칙을 활용해야 합니다. 열역학 제1법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열역학 제2법칙에 따르면,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이제,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를 계산하기 위해 공식을 유도해보겠습니다. 우선,
이를 열역학 제1법칙에 대입하면:
이상기체 상태 방정식
내부 에너지 변화는
이 식을 적분하면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습니다:
따라서, 적분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인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과의 비교
이제 일반적인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인
결론
결론적으로, 이상기체의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은 다음과 같은 추가 항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하여 더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기체와 엔트로피 변화량 공식을 이해하는 데 이 블로그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board/teacherQna/list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