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요약
4장에서 [22]에 테브넌 등가회로를 만드는 방법부분에 4가지중에 '개방전압-test전원법'부분에서 test전원법에서 Rth(Thevenin Resistance) = V_T/I_T라고 되있는데요 이 부분에서 질문입니다. 뭐 일반적으로는 종속전원과 독립전원 둘 다 있고 저항으로 이렇게 회로가 구성되있을텐데요 만약에 애초에 독립전원과 저항으로만 회로가 구성되어 있다면 '개방전압-test전원법'방법을 쓰는 경우 Rth의 의미가 두 단자에서 바라본 합성저항이 맞는지요?
답변 요약
네, 맞습니다. 그런데 종속전원이 유무와 관계 없이 Rth는 두 단자에 바라본 합성저항입니다. 그래서 독립전원만 있으면 델타와이변환, 직병렬 등가저항계산법 등으로 등가저항을 구하면 되고 종속전원이 있으면 (독립전원을 제거하여도 종속전원은 남아 있으므로) 대부분의 경우 회로방정식을 세워서 풀어야 V_T/I_T의 값을 구할 수 있습니다.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ircuit, voltage, power, resistance, current, power supply, equation )
테브넌 등가회로의 이해 및 Rth의 의미
테브넌 등가회로는 실제 복잡한 회로를 간단한 두 요소로 이루어진 등가회로로 변환하여 분석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 방법은 회로 분석을 훨씬 수월하게 만들어주며, 특히 회로의 일부분만을 변경하는 경우 전체 회로를 다시 분석하지 않아도 되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요소는 테브넌 전압
질문하신 내용에 따르면, '개방전압-test전원법'을 사용하여 테브넌 저항
회로 내에 종속전원이 존재하는 경우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테브넌 저항 의 계산 예시
- 독립전원만 있는 경우: 모든 독립전원을 제거하고, 저항들의 직병렬 연결을 통해 합성저항을 계산합니다. 이 합성저항이
가 됩니다. - 종속전원이 있는 경우: 독립전원을 제거하고, 종속전원을 유지한 상태에서 회로 방정식을 설정합니다. 이를 풀어
와 를 구한 후, 를 계산합니다.
따라서 회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따라
결론
테브넌 등가회로는 회로 분석을 간소화시켜 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회로 설계나 분석 작업에서 테브넌 등가회로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용한다면, 효율적이고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실제로 많은 전자공학 분야에서 이론과 함께 실용적인 도구로서 활용되고 있음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megauni.asp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community/qna_list.asp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