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요약 전류가 +극에서 -극으로 흐른다고 하는데, 이것이 수동부호 규정과 어떻게 연결되나요? 답변 요약 전류가 +극에서 -극으로 흐른다는 표현은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는 말과 비슷한 용법입니다. 이는 저항에서 전압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전류가 …
질문 요약 탄소와 결합한 수소는 생략할 수 있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이해가 안 갑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관련 부분이 있는 영상도 있으면 알려주세요! 답변 요약 유기화학에서는 C-H 결합을 비극성 공유결합으로 간주하여 유도효과를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는 유도효과를 고려할 경우 여…
질문 요약 2주기 원소와 3주기 원소 간의 결합과 3주기 원소끼리 이중결합이 어려운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요약 결합은 오비탈 간의 겹침으로 이루어집니다. 2주기와 3주기 원소 간의 파이 결합은 핵 간 거리가 길어 겹침이 원활하지 않아 '약한 겹침'이라고 부릅니다. 반…
질문 요약 55강 18분 20초에서 탄소의 산화수가 +3인 상황에서 LiAlH4를 사용한다고 하셨는데, 이 의미가 궁금합니다. 탄소의 산화수가 +3인 경우는 산화된 상태이므로 환원제인 LiAlH4를 사용한다는 뜻인가요? 그리고 NaBH4는 사용할 수 없는 건가요? LiAlH4를 써야 …
질문 요약 강철과 같은 고정된 부피의 용기에 비활성 기체를 추가했을 때, 왜 반응 기체의 분압이 증가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입자 수가 증가하면 분압이 증가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 답변 요약 비활성 기체를 첨가하면 전체 압력은 증가하지만, 반응에 참여하는 기체의 양은 변하지 않아 그 …
질문 요약 복소수 Z=4-x^2 + j2x의 실수부가 양수, 음수, 0일 때 나누어서 풉니다. 실수부가 음수일 때(x>2 또는 x 답변 요약 실수부가 음수이므로 위상 계산 시 π를 더하거나 빼는 것으로 처리해야 합니다. 교재 130쪽의 예를 보면, -1+j에 대해 arctan(1…
질문 요약 페이저 해석법을 공부 중입니다. 정현파 전원에서 실수부와 허수부의 개념이 헷갈립니다. 복소수 개념의 도입 이유와 e의 수학적 의미가 궁금합니다. 답변 요약 페이저 해석법에서 복소지수함수 e^(jx)는 실수부가 코사인함수, 허수부가 사인함수입니다. 실수부와 허수부는 각각 복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