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quid Junction Potential에서 Cl⁻ 이온의 이동과 Energy Barrier 그래프 이해 (chemistry, electrochemical equilibrium, liquid junction potential, ion diffusion, energy barrier, cathode graph, Cl- ions, concentration gradient, electric field, steady state)

질문 요약

1. 두 번째 그림에서 HCl 0.1M과 KCl 0.1M의 Cl⁻ 이온 농도가 동일하여 E-field 기울기가 형성되지 않는다고 하셨습니다. Donnan 평형에서는 이온들이 농도 차이로 1차 이동하고 전기화학적 평형을 위해 2차 이동합니다. 하지만 liquid junction potential에서는 이온의 이동도 차이로 전기적 중성이 유지되지 않는다고 들었습니다. Cl⁻ 이온이 0.1M KCl로 2차 이동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이 질문은 모든 그림에 적용됩니다. 2. Energy barrier와 current-potential 관계에서 전위 인가 전과 후의 cathode 그래프의 차이가 nF(E−E0′)라고 하셨습니다. 그래프가 아래로 평행 이동했는데 교점 간 거리가 수직선상에 놓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요약

1. Liquid junction potential에서 Cl⁻ 이온도 전기화학적 평형을 이루기 위해 이동하지만, 이는 steady state에서 발생하는 potential을 나타냅니다. 즉, 농도 차이가 0이 되는 평형이 아니라, H⁺, K⁺, Cl⁻ 이온 이동 속도가 일정한 값으로 수렴하며 형성되는 potential입니다. 이 현상에서는 Cl⁻도 이동하지만, 전체 potential은 K⁺와 H⁺의 이동에 크게 좌우됩니다. 2. 수정된 그래프에서 검정색 그래프가 F(E-E0)만큼 평행 이동하여 파란 점선을 그리게 됩니다. 검정 점선과 검정색 그래프의 교점에서 세로선을 그으면 빨간색 그래프와 만나 파란 점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원본 바로가기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electrochemical equilibrium, liquid junction potential, ion diffusion, energy barrier, cathode graph, Cl- ions, concentration gradient, electric field, steady state )
Unsplash 추천 이미지 (키워드 : chemistry, electrochemical equilibrium, liquid junction potential, ion diffusion, energy barrier, cathode graph, Cl- ions, concentration gradient, electric field, steady state )

 

Liquid Junction Potential에서 Cl⁻ 이온의 이동과 Energy Barrier 그래프 이해

Liquid junction potential(액정 접합 전위)는 두 개의 다른 전해질 용액이 접합될 때 발생하는 전위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이온의 이동에 의한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이 과정에서 Cl⁻ 이온의 이동과 관련된 이해가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와 관련된 질문 두 가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Cl⁻ 이온의 이동과 Liquid Junction Potential

Liquid junction potential에서 Cl⁻ 이온의 이동은 복잡한 전기화학적 평형의 일부입니다. 일반적으로 이온의 이동은 농도 차이와 이동도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HCl 0.1M과 KCl 0.1M의 경우, Cl⁻ 이온의 농도가 동일하다는 점에서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는다고 언급하셨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Liquid junction potential은 일시적인 농도 차이와 이동도의 차이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 Cl⁻ 이온은 전기화학적 평형을 이루기 위해 이동합니다. 하지만 이때의 평형은 농도 차이가 0이 되는 것이 아니라, H⁺, K⁺, Cl⁻ 이온의 이동이 일정한 속도로 수렴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즉, Cl⁻ 이온도 이동하지만, 전체 potential은 주로 K⁺와 H⁺ 이온의 이동도에 의해 결정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전류 밀도 j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j=Ddcdx+uzFdϕdx

여기서 D는 확산 계수, u는 이동도, z는 이온의 전하, F는 패러데이 상수, ϕ는 전기 전위입니다. Cl⁻ 이온의 경우, 전하가 동일하므로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한 이동이 이루어집니다.

2. Energy Barrier와 Current-Potential 관계

이제 Energy barrier와 current-potential 그래프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전위가 인가되기 전과 후의 cathode 그래프의 차이는 nF(EE0)로 설명됩니다. 여기서 n은 전이 전자의 수, E는 전극 전위, E0는 표준 전극 전위를 의미합니다.

  • 수직선상에서 그래프가 평행 이동하는 이유는 전위 차이에 의해 전류의 흐름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 이러한 변화는 전기화학적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극복하는 데 필요하며, 이는 전위 차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래프 상에서 이 현상을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i=i0(enF(EE0)RTenF(EE0)RT)

여기서 i0는 교환 전류 밀도, R은 기체 상수, T는 절대 온도입니다. 이 식은 전위가 변화할 때 전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합니다.

결론

Liquid junction potential과 관련된 Cl⁻ 이온의 이동 및 Energy barrier 그래프의 이해는 전기화학적 반응과 이온 수송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Cl⁻ 이온의 이동은 전기적 중성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전체 potential 형성에 기여합니다. 또한, 전위 차이에 따른 전류-전위 그래프의 변화를 통해 전기화학적 반응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이해는 화학 및 전기화학 분야에서의 연구와 응용에 필수적입니다.

유니스터디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

학습Q&A 바로가기 : https://www.unistudy.co.kr/board/teacherQna/list

댓글 쓰기

0 댓글